티스토리 뷰
산술변환
연산 전에 피연산자의 타입을 이치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1. 두 피연산자의 타입을 같게 일치시킨다. (큰 타입으로 일치)
- long + int => long + long ==> long
- float + int => float + float ==> float
2. 피연산자의 타입이 int 보다 작은 타입 이면 int로 변환된다.
- byte + short => int + int ==> int
- char + short => int + int ==> int
int보다 작은 타입이 계산을 통해 쉽게 범위가 넘어갈 수 있기 때문에
오버플로우가 발생해 정확한 게산값을 가져오지 못할 수 있어서
미리 큰범위인 int타입으로 변환시킨 후 계산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밍 기초 #1 (0) | 2023.02.13 |
---|---|
JAVA - Math 클래스와 문자열의 비교 (0) | 2023.02.13 |
JAVA - 형변환과 자동 형변환 (0) | 2023.02.13 |
JAVA - 문자와 문자열 (0) | 2023.02.13 |
JAVA - 기본형과 참조형 (0) | 2023.02.13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Load Balancer
- script
- 시작 템플릿
- JWT
- 로드밸런서
- Auto Scaling
- java
- aws
- HTML
- flask
- 위치의 중요성
- CICD
- 인스턴스
- 로드 밸런서
- 오토 스케일링
- githubactions
- CodeDeploy
- EC2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