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미니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배포를 하면서 리눅스 명령어 사용이 부쩍늘었다.
미니 프로젝트를 하면서 유용하게 사용한 명령어를 정리 하겠다.
nohup
nohup 은 no hang up 의 약자이다. 해석하면 "끊지마" 라고 한다.
모든 운영체제는 기본적으로 세션에서 프로세스들이 실행하게 된다고 한다. 그래서 aws EC2에 접속하고 터미널을 끄면 실행되고 있던 프로세스들이 모두 종료된다. 그래서 백그라운드라는 별도의 사용공간을 제공한다.
- nohup은 실행을 현재 사용자 세션이 아닌 운영체제가 제공하는 백그라운드 공간에서 실행을 한다.
- &는 사용자 세션에서 실행되며, 화면 출력만 백그라운드로 전환한 상태이다.
&의 용도는 주로 현재 로그인한 세션에서 입력을 계속 사용해야하는데
실행 프로그램의 출력 때문에 쉘 사용을 할 수 없을 때 사용하게 된다.
nohup으로 실행시킬 파일은 반드시 755 퍼미션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사용법은 실행하고자 하는 프로그램 앞에 nohup을 붙이면 된다.
$ nohup java -jar 프로그램 이름.jar
뒤에 & 붙이면 백그라운드로 실행이 된다.
$ nohup java -jar 프로그램 이름.jar &
8080 포트포워딩
AWS EC2 서버 포트 포워딩 80 -> 8080
스프링을 작동하고 접속할려면 14.232.153.656:8080
뒤에 8080을 붙여야 했다.
매번 8080을 붙이기도 번거롭고 도메인 설정도 안된다 8080이....
그래서
# iptables -A PREROUTING -t nat -i eth0 -p tcp --dport 80 -j REDIRECT --to-port 8080
# service iptables save // 규칙 저장
# sudo iptables -t nat -L --line-numbers // 8080 포트가 설정되어 있는걸 확인
위에 코드만 입력하면 끝!!
이렇게하면 14.232.153.656 로 접속해도 접속이 가능하게 빨려들어간다. GOOD
물론 8080 붙여서 들어가도 상관없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EC2 시작 템플릿 생성 (0) | 2023.04.27 |
---|---|
AWS 로드밸런서 적용 (0) | 2023.04.25 |
AWS S3 이미지 업로드 (0) | 2023.03.29 |
AWS CICD 설정 (0) | 2023.03.24 |
EC2, RDS 타임존 바꾸기 (0) | 2023.03.23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시작 템플릿
- CodeDeploy
- aws
- script
- Load Balancer
- 위치의 중요성
- HTML
- EC2
- JWT
- CICD
- flask
- githubactions
- java
- 로드 밸런서
- 오토 스케일링
- 로드밸런서
- Auto Scaling
- 인스턴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