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멘토링 후 나는 병목을 찾아서 해결하면 응답시간과 TPS에서 개선이 이루어 질것으로 예상이 되어서
내부적으로 서버맵, 실시간 활성 스레드 차트, 요청/응답 차트, API의 호출 상세 이력,
서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시각화하여 볼 수 있는 기능 등을 제공하는
Pinpoint를 도입해서 병목현상이 나타나는 곳을 찾아서 개선을 하려고한다.
나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 있는 Pinpoint cloud를 이용해서 사용을 하려고한다.
NAVER CLOUD PLATFORM
cloud computing services for corporations, IaaS, PaaS, SaaS, with Global region and Security Technology Certification
www.ncloud.com
'APM' 카테고리의 다른 글
Jmeter로 부하 테스트하기 (0) | 2023.04.05 |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EC2
- 위치의 중요성
- githubactions
- CICD
- script
- Auto Scaling
- CodeDeploy
- java
- JWT
- flask
- 오토 스케일링
- 로드 밸런서
- 시작 템플릿
- HTML
- aws
- 로드밸런서
- 인스턴스
- Load Balancer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